사랑방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사랑방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119)
    • * 소 개 글 (21)
      • 작가 프로필(Profile) (15)
    • * 창작공간 (965)
      • 자작시 감상실 1 (278)
      • 자작시 감상실 2 (324)
      • Essay 모음 1 (26)
      • Essay 모음 2 (24)
      • 단편 - 삼 촌 (3)
      • 단편 - 편지 (5)
      • 단편 - e 커플 (5)
      • 단편 - 손 톱 (4)
      • 단편 - 사모곡 (4)
      • 단편 - 재미없는 이야기 (4)
      • 단편 - 날 개 (4)
      • 단편 - 두번 우는 새 (3)
      • 장편 - 울고 넘는 박달재 (0)
      • 단편 - 반도의 꽃 (5)
      • 단편 - 천년 비 (5)
      • 단편 - 달하 노피곰 도드샤 (0)
      • 단편 - 싱가폴슬링 (4)
      • 단편 - 씨 (5)
      • 중편 - 달빛 소나타 (8)
      • 단편 - 판도라 상자 (3)
      • 장편 - 엑스 (11)
      • 단편 - 제2전선 (3)
      • 단편 - 하얀나비 (7)
      • 단편 - 물망초 (7)
      • 중편 - 페타꽁쁠리 (6)
      • 중편 - 방씨부인전 (7)
      • 단편 - 목련꽃필 때면 (3)
      • 단편 - 홀로 아리랑 (6)
      • 단편 - 눈부처 (7)
      • 단편 - 아파트 여자 (3)
      • 중편 - 가을 영가(靈歌) (5)
      • 중편 - 가리봉동 (7)
      • 중편 - 方氏婦人傳 (0)
      • 중편 - 소녀(素女) (5)
      • 단편 - 황새울 (5)
      • 단편 - 동행 (7)
      • 단편 - 울지않는 새 (6)
      • 단편 - 쩐 (2)
      • 중편 - 누에섬에 가다 (5)
      • 단편 - 유산(遺産) (5)
      • 단편 - 상사몽 (4)
      • 단편 - Bardo (3)
      • 단편 - 뽕 (2)
      • 장편 - 유월에 내린눈 (10)
      • 중편 - 황해의 달빛 (5)
      • 단편 - 불꽃 (3)
      • 단편 - 천성도 (1)
      • 단편 - 해후 (3)
      • 단편 - 월하무정 (6)
      • 단편 - 우왕후 (4)
      • 단편 - 사부곡 (4)
      • 단편 - 남쪽나라 바닷가에 (4)
      • 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7)
      • 단편 - 정난주 마리아 (1)
      • 중편 - 을불 傳 (5)
      • 중편 - 꽃들의 암투 (5)
      • 단편 - 모말 (4)
      • 중편 - 일지랑 (6)
      • 중편 - 격황소서 (9)
      • 중편 - 부의 비 (3)
      • 중편 - 반야의 누 (1)
      • 중편 - 팔수부인 (7)
      • 단편 - 묏버들 잎을 띄워 (5)
      • 단편 - 부여비 (5)
      • 중편 - 여풍 (8)
      • 단편 - 굴비 (2)
      • 단편 - 내례부인 (3)
      • 단편 - 석우로 (0)
      • 단편 - 김옥모 (5)
      • 단편 - 비류의 나라 (2)
      • 중편 - 관나부인 (9)
      • 단편 - 보과공주 (0)
      • 단편 - 비류, 소래에 서다 (4)
      • 단편 - 신혈소군 (4)
    • * 조정철, 홍윤애 자료 (0)
    • * 서점에 있는 내 작품집 (8)
      • 시집 (5)
      • 소설집 (3)
    • * 그리스 로마 신화 (0)

검색 레이어

사랑방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 요석궁에 내린 비(최종회)

    2017.08.08 by 여강 최재효

  • 요석궁에 내린 비(6)

    2017.08.06 by 여강 최재효

  • 요석궁에 내린 비(5)

    2017.07.10 by 여강 최재효

  • 요석궁에 내린 비(4)

    2017.06.20 by 여강 최재효

  • 요석궁에 내린 비(3)

    2017.05.24 by 여강 최재효

  • 요석궁에 내린 비(2)

    2017.05.07 by 여강 최재효

  • 요석궁에 내린 비(1)

    2017.04.24 by 여강 최재효

요석궁에 내린 비(최종회)

요석궁에 내린 비(최종회) - 여강 최재효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짝이 있게 마련이다. 인연이란 짝을 만나면 서로 끌려 허락하는 것이니 뭇 짐승들도 마찬가지이다. 사람을 만날 때 ‘인연’이 라는 말을 많이 쓴다. 인연이란 말은 좋은 뜻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나 사실 인연은 좋고 나쁨..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8. 8. 16:40

요석궁에 내린 비(6)

요석궁에 내린 비(6) - 여강 최재효 원효스님을 일컬어 신라사람들은 ‘원효(元曉)는 불기(不羈)다’라고 했다. 그는 해방자이며, 동시에 자유인이 분명했다. 불교와 승려라는 형색으로부터 지식과 명예로부터도 그리고 계율로부터 스님은 늘 자유로웠다. 결코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8. 6. 23:36

요석궁에 내린 비(5)

요석궁에 내린 비(5) - 여강 최재효 자연스러운 법계(法界)의 진리란, 진리가 없으면서도 진리 아님이 없고 문이 아니면서도 문이 아닌 것이 없다고 할 수 있겠다. 큰 것도 없지만 작은 것도 없 고 모자란 것도 아니지만 넘치는 것도 아니고 하나도 아니지만 많은 것도 아니 다. 크지 않은 ..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7. 10. 21:51

요석궁에 내린 비(4)

요석궁에 내린 비(4) - 여강 최재효 진정으로 착한 사람이 되고자한다면 세상의 모든 조직으로 부터 완전히 해방돼야 한다. 어떤 일이든 걸림이 없으면 그것을 곧 무애(無碍)라 말 한다. 온전한 사람이라면 온갖 허망한 사슬과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자유는 곧 허구의 자아(自我)..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6. 20. 18:57

요석궁에 내린 비(3)

요석궁에 내린 비(3) - 여강 최재효 사람이 언젠가 생각했던 것은 물질세계에 나타나기도 한다. 그 생각이 착하 든 그렇지 않든 생전에 어떤 형태로 든 현상계에 나타나게 되어 있다. 내가 타인을 탓하는 심성을 지니면 나 역시 타인에게 질타받는 위치에 있게 되며, 고집이 센 경우에는 병..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5. 24. 00:30

요석궁에 내린 비(2)

요석궁에 내린 비(2) - 여강 최재효 2 무량아승지(無量阿僧祗)는 필설(筆舌)로나 생각으로 미치지 못하 는 숫자의 단위이다. 이러한 세월을 두고 보시를 행한다 할지라도 좋은 말씀을 다른 사람에게 널리 말해 준다면 그 복이 더 수승하리 라. 그러나 남에게 아무리 좋은 말이라하여도 말해..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5. 7. 20:46

요석궁에 내린 비(1)

요석궁에 내린 비 - 여강 최재효 1 음양의 조화는 반드시 천지신명의 계시가 있거나, 특이한 현상과 그 인과 에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어쩌하다 나약한 인간의 한 방울의 눈물이나 탄식이 하늘을 감화시키거나, 동화시킬 수 있으리라. 우리가 있는 지점이 곧 하늘이고 땅이며, 광대무..

* 창작공간/중편 - 요석궁에 내린 비 2017. 4. 24. 01: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사랑방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