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금생의 변(2)

* 창작공간/자작시 감상실 1

by 여강 최재효 2015. 12. 7. 21:19

본문

 

 

 

 

 

 

 

 

 

 

 

 

                                         

 

 

 

 

 

 

 

 

 


                      금생의 변(2)

 

 

 

 

 


                                                                                                                                            - 여강 최재효

 

 

 

 

 


              전생(前生)을 마감하고 삼도천을 건널 때
              하나의 생(生)을 응축시킨 시어(詩語)가 생각나겠네
              산수탄(山水灘)은 다시는 아니 볼세
              강심연(江心淵)도 별로 흥미를 끌지는 못할 테지


              거친 들에 봄이 오면 백화(百花)가 난만하고
              통곡의 늪에도 밤이면 별이 떨어지곤 하는데
              사람의 일생은 망각(忘却)의 연속이라
              하룻밤 자고나면 모든 게 백지(白紙)라네


              북극성을 중심으로 한 오백년을 돌고 또 돌아도
              결국은 그 자리에 머무는 유한(有限)의 팽이
              저 검푸른 허공의 별들과 뭍 혜성(彗星)들 역시
              나와 매한가지라 늘 어지럼증에 시달린다네


              금생(今生)을 접고 떠나는 날 그렇게 고대했던
              유교도(有僑渡)를 건너갈 수 있을까
              적선(積善)이 없으면 악도(惡道)도 과분하겠지만
              전생(轉生)을 반복하는 동안 홀몸이 편할 테지


              요락(寥落)한 옛 집터에 꽃 한두 송이 피었는데
              쇠잔한 나그네 유령으로 찾아와 눈을 감네
              요즘 사람들 눈만 살아서 움직이지
              눈 감은 뒤 영원할 행려(行旅)는 망각한 채로


              속상(俗上)의 헛된 것에 평생 이목(耳目) 팔리고
              일운(一雲)은 꿈결처럼 흘러가고 말았으니
              눈을 비비고 나면 또 무슨 변명이 필요할까
              다만, 삼선(三善)이 우연하기를 바랄 뿐이네

 

               - 창작일 : 2015.12.7. 21:00

 

 

 

 

 


                          [注] 삼도천(三途川) - 저승으로 가는 도중에 있는 강.
                                 물살이 빠르고 느린 여울이 있어, 생전의 업(業)에 따라 산수탄(山水灘賴),
                                 강심연(江沈淵), 유교도(有橋渡) 등 건너는 곳이 세 가지 길이 있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 창작공간 > 자작시 감상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월 고  (0) 2016.02.22
금생의 변(3)  (0) 2015.12.09
금생의 변(1)  (0) 2015.12.01
몽중인(4)  (0) 2015.11.18
만추 속에서  (0) 2015.11.17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