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늦으리
- 여강 최재효
“아빠, 운동가?”
둘째가 현관을 나서는 내 등에대고 약간 불만 섞인 소리를
지른다. 나는 저녁식사후 두 시간후 쯤 집 근처 초등학교
운동장으로 나간다. 전에는 아이들과 아내와 함께 갔으나
이제는 나 혼자간다. 아이들은 공부를 한다고 가기싫다고
하고, 아내는 회사에서 가져온 서류와 씨름을 하느라 시
간이 없다고 한다.
일주일에 두 세번의 술 자리가 있는 날을 빼고 집에 일찍
들어오는 날은 나와의 싸움을 한다. 밤 이라는 시간은 참
으로 묘하다. 어둠속에 모든 것을 감춰준다. 얼굴이 예쁜
든 그렇지 않든 어둠은 포근함을 느끼게 해준다.
운동장에 나가면 참으로 마음이 홀가분 하다. 집안에서 느
끼는 답답함과 소음이 없어 좋다. 우선 경보(競步)로 운동장
을 20 바퀴정도 걷고난 뒤 다시 5바퀴를 뛰면 땀이 흐르기
시작한다. 러닝셔츠가 촉촉이 젖으면 일종의 성취감과 함께
희열을 느낀다.
육체를 움직이지 않고 흘리는 땀은 별 의미가 없다고 본다.
목욕탕안에서 땀을 흘리는 것은 수분만 뺄 뿐, 건강에 큰 도
움은 못 준다. 육신을 움직에 몸속에서 열이 나고 그 운동
에너지가 피부의 땀구멍을 통해 몸소의 염분과 노폐물을 배
출 시킬 때 건강이 다져진다.
성인병 예방에 걷기가 좋다고 알려진 뒤 저녁시간대에 온
가족이 걷기운동을 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주로
집 근처 학교나 도로 혹은 하천을 끼고 있는 제방둑에는 어
김없이 소잃기 전 외양간 고치려는 주민들로 넘쳐난다.
내가 저녁 때 걷기를 시작한 것은 2년 전 봄이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는 건강에 자신이 있었고, 등산을 하거나 걷기
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 비웃기도 했었다. 그해 초봄 아내와
아이들을 데리고 서울 북한산을 등산하였다.
도봉산 관음암을 오르다가 현기증을 느끼고 그 자리에 한
참동안 서있었다. 도저히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았다. 전날
음주를 한 것도 아니었고 집에서 나올 때에도 특별히 아픈
곳도 없었다. 그 당시 내 몸무게가 85kg이었다.
결혼전에 75kg 이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비만이었다. 그때
충격을 받아 매일 저녁 걷기를 시작했다. 이제는 다시 총각
시절의 몸무게를 되찾았다. 담배도 끊고 좋아하던 술도 줄이
고 운동을 꾸준히 하니 자연 몸이 가벼워졌다. 그리고 주말
이나 일요일 등산가방 덜렁메고, 소잃고 외양간 고치치 않
으려고 서울근교 산을 찾는다.
내 앞에 40대 후반의 뚱뚱한 아주머니가 뒤뚱거리며 걷고
있다. 얼마나 많이 걸었는지 등이 땀으로 흔건하다. 하얀
반바지를 입은 뒷 모습이 부담스러워 보인다.
“진작에 저렇게 열심히 운동을 했더라면 평생 처녀같은
몸매를 유지할 수 있을 텐데...“
그 앞으로 30대 초반의 여자 둘이서 담소를 하며 걷고 있다.
그 분들은 심심파적으로 마실을 나온 것 같다. 밤에 운동
장에 나와 걷기를 하다보면 얼굴이 익숙한 분들도 더러 만
난다. 그러나 자세히 쳐다보지 않으면 잘 구별할 수가 없다.
뛰고 걷고는 이웃들의 싱싱한 삶을 구경하는 것 같아 기
분이 좋다. 다만 하늘의 스카이라인을 기하학적 무늬로 만
드는 고층아파트숲이 아닌, 여치와 찌르레기 반디불이를 만
날 수 있는 천연의 숲속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그래도 집
가까이 이만한 운동장이 있는 것만이라도 얼마냐 싶어 크
게 감사한다.
검푸른 하늘 한가운데 45억살의 달님이 배시시 웃으며 쳐
다보고 있다. 달밤에 체조하는 인간들을 내려다 보며 한마디
하신다.
“얼마나 오래 살려고 그렇게 땀을 흘리시는가?”
괜히 쑥스러운 생각이 든다. 100살도 살지 못하는 인간들
이 조금이라도 더 살아보겠다고 아둥바둥 하는 모습이 측
은하게 보인다.
그러나 주어진 한 평생이나마 알차게 산다면 영원을 살 수
있지 않을까? 인간의 육신이나 기계도 일정기간 지나면 고
장이 나게 마련이고 결국 세상을 달리하거나 폐품이 된다.
영원을 사는 분들이 있다. 부처나 예수는 인간의 몸을 지
니고 태어났다. 육신은 2000년 이전에 이승을 떠났지만
그분들의 말씀은 아직도 우리들 마음속에 살아계신다. 이
지구가 종말이 올 때까지 그분들은 인간의 마음속에 살아
계시리라. 우리 모두가 그분들처럼 종교를 만들어 영원히
살자는 말이 아니다.
우리 몸속에는 수 천년 이전부터 흐르던 피가 흐르고 있다
. 아버지 어머니가 그 자식들에게 피를 물려주셨고 그 자
식들은 다시 그 자식들에게 피를 물려주셨다. 나는 부모님
에게 피와 살을 받고 세상에 태어났고, 다시 내 자식들에
게 내 피를 물려주었다.
그 흐르는 핏속에 멀리는 고조선 대륙적 기질과 고구려의
기개가 살아있고,백제와 신라의 위대한 혼(魂)이 살아 숨
쉬고 있고, 고려와 조선의 숭고한 영(靈) 꿈툴대고 있다.
나는 한 개체에 불과하지만 위로는 수 천년 동안 면면히
이어온 배달민족의 정기가 흐르고 있다. 그 도도하게 흐
르는 민족의 정기를 나에게서 단절되지 않기 위해서는 우
선 내가 건강해야 한다. 육신의 건강도 중요하지만 정신적
건강도 중요하다.
주위에서 일찍 자신을 포기하는 선후배들을 본다. 어쩌면
그것은 자신 뿐만 아니라 이 땅에 태어난 역사적 사명을
버리는 것은 아닌지. 술과 마약 육욕(肉慾)에 자신을 맡기
고 폐인이 되가는 그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프다.
지난달에 불알친구 한 녀석이 세상을 버렸다. 욱하는 성
격의 녀석은 회사일로 동료들과 시비를 벌이다 분을 참
지 못하고 자살을 택했다. 그 녀석의 영전에서 나는 속으
로 중얼거렸다.
“저 애들은 어떻게 하라고, 무책임하게 ...”
녀석은 분명 할 일을 다 마치지 못하고, 친구들 곁을 떠났다.
분명히 세상에 온 목적이 있을텐데.
운동장 스무 바퀴를 걷고 다섯 바퀴를 뛰었다. 런닝셔츠
가 축축하게 젖었다. 상쾌한 기분이 들며 새가 된 것 같다.
내 앞에 모녀가 정답게 걸으며 이야기 꽃을 피우고 있다.
걷기와 뜀뛰기를 마친 몇몇 이웃들은 철봉대앞에서 체조
를 하며 숨을 고르고 있다. 외양간을 튼튼히 한 그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달빛이 그들의 어깨위에서 하얗게 부서지
고 있다.
나도 그들 옆에 서서 체조를 하며 숨을 고르고 있다. 얼굴
에 짭짜롬한 운동의 결과가 자랑스럽게 묻어있다. 잠시 벤
치에 앉아 발바닥을 주무르고 종아리를 만져본다. 튼튼한
다리가 믿음직스럽다. 이 두다리에 아이들과 나의 미래가
달려있다.
들녘에서 울던 귀뚜라미는 8월이면 인간이 사는 집으로
숨어들고 9월이면 문지방을 기웃 거린다. 저 달 잔월(殘
月)되기 전에 외양간을 튼튼히 해야겠다.
까를의 땅 (0) | 2006.11.11 |
---|---|
임(2) (0) | 2006.07.11 |
10월 가고 싶은 곳 소래 (0) | 2006.05.20 |
[스크랩] 불알친구 (0) | 2005.03.31 |
[스크랩] 끈 (0) | 200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