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강 최재효 2006. 10. 2. 23:27

 

       

 

 

 

        거열(車裂)

 

 

 

                                                                                                          - 여강 최재효

 

 

 

 

         싸늘한 아스팔트에
         일상으로
         능지처참의 참상이 일어나고 있다
         분명, 제대로 된 재판이 없었을 터


         오얏왕조 때 이상향을 꿈꿨던
         교산(蛟山)과 고균(古筠)이 거기 있었다


         붉은 살점
         한때, 뜨거웠던 선혈이
         포도(鋪道)에 아무렇게 나뒹굴어도
         공범(共犯)들, 누구하나 거들떠보지 않는다
         유년시절 해피가
         꼬리 흔들며 달려들지만
         나 또한 외면하고 만다


         문명이 무죄를 주장하며
         창밖으로 쏜살같이 달아난다
         억울한 영혼은
         산화(散華) 된 육신으로
         거칠게 항의 해 보지만
         가해자도 판관(判官)도 그 자리에 없다


         검정 페이브먼트 위에는

         때 이른 부음을 받고 
         조문(弔文) 온 낙엽들만 아우성이다

 


          2006. 10. 2. 아침
       - 경인고속도로에서 -
 

 


                [주]


                   1. 거열 - 팔과 다리를 각각 다른 수레에 묶고, 반대 방향으로
                                 끌어서 찢어 죽이는 형벌[= 능지처참( 陵遲處斬)] 
                   2. 고균(古筠) - 갑신정변을 주도 했던, 김옥균의 호.
                                 1894.3월 홍종우에게 상해에서 피살되어, 그의 시신은
                                양화진에서 다시 능지처참되었음.
                   3. 교산(蛟山) -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의 호로, 역모죄로
                                 몰려 광해군 10년(1618년) 능지처참을 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