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강 최재효 2018. 4. 28. 12:37













                                          

                                            충주 수안보면 박석고개 정헌 묘에 참배하는 필자                                        










                                              박석고개 연가
                                       - 정헌 조정철(趙貞喆)에게 부치다 -


                                                          



                                                                                                                                                              - 여강 최재효





             춘수(春水) 가득한 푸른 산 중턱
             맑은 양광(陽光) 한 아름 고여 있고
             무심한 바람에 꽃잎 실려 흩날리는데
             이름 모를 산새들 짝을 지어 준령을 넘나듭니다

   
             촌부는 소와 단짝 되어 밭이랑 일구고
             아낙은 부지런히 한해의 꿈을 심는데
             바다길 건너 한 걸음에 달려온 객지 나그네 
             탐라 홍인(洪人)의 소식을 차마 어찌 전해야 할까요

 
             고운 님 망강(忘江) 건너신 지 일백 구십여 성상
             그 동안 한양 홍랑(洪娘)과 어찌 지내셨는지요
             원도(遠島)를 향한 단심(丹心)은 여전하실 테지요
             의녀(義女)의 청총(靑冢) 흙 한줌 가져왔습니다


             세상사에 어떻게 우연이란 일이 있을까요
             단단한 백석(白石)에 새겨진 세분 가인(佳人)
             충주 수안보 백석고개에서 망부석처럼 전하리니
             다만, 알아보는 이 드물어 서운하나이다


             동파(東坡)에 능수버들 늘어지던 고운 날
             천년 가약(佳約) 맺은 사연 잊을 수 없을 테지요
             소쩍새 서럽게 울던 적거(謫居)의 어느 봄밤
             임의 사랑 맹서는 여전히 향기가 진하답니다


                            - 창작일 : 2018.4.25. [16:35]
                                            충주시 수안보면 박석고개 정헌 조정철 묘에서



 






                       [주] 1) 정헌 조정철은 1777년 8월 처가 사람들에 의해 일어난 정조시해
                         사건으로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어 29년 살다 복직되어 형조판서를 지
                         냈다. 첫째 부인 남양홍씨는 1777년 9월에 자결하였고, 3년 후 정헌은 제 
                         주에서 남양홍씨 윤애를 만나 사랑을 하는 사이가 되어 딸까지 두었으나, 
                         유배인을 도왔다는 죄목으로 제주목사의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홍윤애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1781년 5월 죽음으로써 연인 정헌을 구했다. 정헌은

                         1805년 복직하고 1811년 제주목사 겸 전라도방어사가 되어 홍윤애의 묘를

                         찾아 통곡하고, 딸도 만났다.  충주 박석고개 조정철 묘는 첫째 부인과 합장

                         묘이며, 세째부인 영월 신씨의 묘는 근처에 있다. 홍윤애의 묘는 북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데 정헌은 묘비를 세우고 의녀(義女)라 하고 헌시

                         (獻詩)하였다. 
                         2) 동파 - 정헌의 고향, 경기도 장단군 진동면 동파리
                         3) 적거 - 1781년 당시 정헌의 제주목 유배지 초옥(草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