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강 최재효 2015. 10. 28. 23:08

 

 

 

 

 

 

 

 

 

 

 

 

                                                

 

 

 

 

 

 

 

 

                                           수종사 연가(戀歌)

 

 

 

 
                                                                                                                                      - 여강 최재효

 

 


                             

                  북강(北江)은 무슨 사연이 있어

                  뻔 한 길을 이리 늦었는지
                  남강(南江)은 쉬운 물길 어디인지 잘 알면서
                  헛되이 굽이굽이 돌아 왔을 터


                  지명(知命) 중간에 선 한 사내
                  두 손 곱게 모아 투지(投止)로 마음 달래고
                  가을 국화 보다 고운 귀인(貴人)
                  임 향한 단심(丹心)은 멈출 줄 모르네


                  이녁, 지금까지 정인(情人)을 섬김에
                  한 번도 가볍지 않았다면
                  청천(靑天)에 구름 머물러도
                  서둘러 신월(新月) 찾은적 없었을 테지


                  수종사 저 아래 강에 가을산 잠겨있고
                  높은 하늘 조차 조용히 빠져있는데
                  오백년 고목에 깃든 온갖 산새들
                  돌아갈 줄 모르고 쌍쌍이 정답네

 

                  두 물도 어렵사리 만나 한 몸 이루었으니
                  시월의 붉은 선연(善緣)도
                  백천만겁(百千萬劫)이 너무 길다 말하지 말고
                  저 강물이 모두 마르도록 이어져야 하리


                  산천은 의구(依舊)하되 말이 없고
                  세상 사람들 세치 혀는 천장(千丈)이라네
                  범종 소리 산 아래 은은히 퍼지는데
                  내 어찌 은근한 시선을 다른데로 돌릴 수 있으리

 

                               - 창작일 : 2015.10.26. 17:40
                                                  남양주시 운길산 수종사에서

   


 

 

 

 

 

                               [주] 이녁 - 이녁은 인칭 대명사로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고

                                               ① 자기를 낮추는 말.

                                               ② 상대를 조금 낮추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