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강 최재효 2008. 7. 2. 19:17

 

 

 

 

                             

 

 

 

 

 

                 穿孔


                                                                                               - 여강 최재효 

 

 


                    예전에는 잠자리가 개운했었다
                    자고나면 팔방(八方)에서
                    하늘이 뚫렸다는 아우성 뿐이다


                    고향집 기름보일러가 의심스럽다
                    노모(老母)는 자식들에게
                    차마 말씀을 못하신다
                    지난해만 해도 동네 어머니들이 자주
                    마실 왔었다고 한다


                    문명이 오히려 비문명을 부추기고
                    새로운 노비문서를 만들어 내고 있다
                    적어도 석기시대에는
                    먹고 싶으면 먹고
                    자고 싶으면 잘 수 있었다


                    내일은 바다 밑이 뻥 뚫렸다는 희소식을
                    듣고 싶을 뿐이다
                    두 다리 뻗어본 기억이 희미하다
                    도대체 하늘은 왜 묵묵부답인가
                    삼사(三師)가 대취한 채 잠만 자나보다


                    - 창작일 : 2008.07.02. 19:25

 

 

 

 

 

 

                               [주]1.천공 - 뚫을 천(穿), 구멍 공(孔)

                                     2.삼사 - 단군신화에 나오는 풍백(風伯)

                                                 운사(雲師), 우사(雨師)